데이터 시각화(태블로)/3단원

3-2. 선 차트 (시간에 따른 변화 중심의 시각화)

자라나는지수새싹 2023. 2. 18. 15:46

* 선차트란? 

선으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시각화 방법, 트렌드나 미래 값을 예측하는 등 시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할 때 효과적이다.

 

* 상황별 선 차트 사용법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데이터 변화를 보여줄 때 유용하다.

미래 기대수명의 변화를 보여주는 선 차트

 

2) 항목 간 트렌드 변화를 비교할 때 유용하다.

출생아수와 사망자수를 비교하는 그래프 -> 자연 인구 감소

 

* 선 차트를 사용할 때 Tip

1) 핵심을 정확하게 전달하려면 너무 많은 선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아.. 어지러워...ㅠㅠ 그래서 강조하고 싶은 항목이 뭔데????

 

<개선>

강조하고 싶은 항목 몇 개만 선정하여 깔끔하게 그리도록..

 

2) 항목을 차별화하고 싶다면 색상을 사용하도록 한다.

배경 색상을 추가한 그래프

 

3) 항목값이 과장되지 않도록 세로 축 범위를 적절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1달 간 최고-최저 환율의 차이와 1년 간 최고-최저 환율의 차이를 각각 그린 그래프. 세로 축 범위에 따라 보이는 수치의 차이가 다르게 느껴질 수 있다.

 

<실습> 제주특별자치도 자연 휴양림 이용객 현황은?

1) 데이터 준비하기

 

분석하려는 데이터셋은 다음과 같다.

 

 

2) 데이터로 알고 싶은 내용 질문하기

 

  • 방문객이 가장 많은 휴양림과 가장 적은 휴양림은 어디인가?
  • 휴양림별 이용객수는 어떻게 차이가 존재하는가?
  • 휴양림별 방문객수의 트렌드는 어떻게 다른가?

 

3) 선 차트 만들기 (항목 1개 선 차트 / 항목 여러 개 선 차트)

 

항목 1개인 선 차트 그리기

 

 

항목이 여러개인 선 차트 그리기

 

4) 질문에 답해보기

 

Q1. 방문객이 가장 많은 휴양림과 가장 적은 휴양림은 어디인가?

A1. 가장 많은 휴양림은 제주 절물 휴양림(보라색 선 그래프)이고, 다른 휴양림은 비슷하다.

 

Q2. 휴양림별 이용객수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A2. 최고의 방문객을 자랑하고 있어 가장 눈에 띄는 제주 절물 휴양림이 2018년 이후로 방문객 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문객수가 전체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붉은 오름 휴양림은 2020년에 방문객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홍보 활동의 결과나 입소문일 수도 있다.

 

Q3. 휴양림별 방문객 수 트렌드의 변화는 어떠한가?

A3. 휴양림마다 트렌드가 다르지만, 제주 절물 휴양림 방문객 수가 줄어들면서, 전체적인 휴양림 방문객 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제주 절물 휴양림이 제주 관광 산업 매출의 랜드마크를 담당하는 관광지인데... 감소하는 매출을 다시 반등시킬만한 캠페인 및 홍보 방법을 찾으면서, 해결책을 제시해 나가는 것이 좋아보인다. by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