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차트란?
선으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시각화 방법, 트렌드나 미래 값을 예측하는 등 시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할 때 효과적이다.
* 상황별 선 차트 사용법
1) 시간의 흐름에 따른 데이터 변화를 보여줄 때 유용하다.
2) 항목 간 트렌드 변화를 비교할 때 유용하다.
* 선 차트를 사용할 때 Tip
1) 핵심을 정확하게 전달하려면 너무 많은 선을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개선>
2) 항목을 차별화하고 싶다면 색상을 사용하도록 한다.
3) 항목값이 과장되지 않도록 세로 축 범위를 적절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실습> 제주특별자치도 자연 휴양림 이용객 현황은?
1) 데이터 준비하기
2) 데이터로 알고 싶은 내용 질문하기
- 방문객이 가장 많은 휴양림과 가장 적은 휴양림은 어디인가?
- 휴양림별 이용객수는 어떻게 차이가 존재하는가?
- 휴양림별 방문객수의 트렌드는 어떻게 다른가?
3) 선 차트 만들기 (항목 1개 선 차트 / 항목 여러 개 선 차트)
4) 질문에 답해보기
Q1. 방문객이 가장 많은 휴양림과 가장 적은 휴양림은 어디인가?
A1. 가장 많은 휴양림은 제주 절물 휴양림(보라색 선 그래프)이고, 다른 휴양림은 비슷하다.
Q2. 휴양림별 이용객수는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가?
A2. 최고의 방문객을 자랑하고 있어 가장 눈에 띄는 제주 절물 휴양림이 2018년 이후로 방문객 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방문객수가 전체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붉은 오름 휴양림은 2020년에 방문객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였는데, 이는 홍보 활동의 결과나 입소문일 수도 있다.
Q3. 휴양림별 방문객 수 트렌드의 변화는 어떠한가?
A3. 휴양림마다 트렌드가 다르지만, 제주 절물 휴양림 방문객 수가 줄어들면서, 전체적인 휴양림 방문객 수가 줄어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제주 절물 휴양림이 제주 관광 산업 매출의 랜드마크를 담당하는 관광지인데... 감소하는 매출을 다시 반등시킬만한 캠페인 및 홍보 방법을 찾으면서, 해결책을 제시해 나가는 것이 좋아보인다. by 필자의 주관적인 견해)
'데이터 시각화(태블로) > 3단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 하이라이트 지도 : 지리적 데이터 분석 중심의 시각화 (0) | 2023.02.18 |
---|---|
3-5. 하이라이트 테이블 : 데이터 포착 중심의 시각화 (0) | 2023.02.18 |
3-4. 분산형 차트 : 관계 분석 중심의 시각화 (0) | 2023.02.18 |
3-3. 파이 차트 : 비율 분석 중심의 시각화 (0) | 2023.02.18 |
3-1. 막대 차트 : 비교 분석 중심의 시각화 (0) | 2023.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