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시각화(태블로)/3단원

3-1. 막대 차트 : 비교 분석 중심의 시각화

자라나는지수새싹 2023. 2. 18. 12:40

막대 차트란?

직사각형 막대로 데이터를 표현하는 시각화 방법으로, 

항목별 구체적인 수치를 비교할 때 유용하다. (수직 막대 차트, 수평 막대 차트)

 

막대 차트의 상황별 사용법

1. 트렌드를 파악할 때 유용하다. (가로 축은 연도, 세로 축은 방문객수로 나타내기)

 

2. 수직 막대 차트는 순위를 비교할 때 유용하다. (가로 - 회원, 세로 - 판매량 및 점수)

 

3. 수평 막대 차트달성도를 확인할 때 유용하다. (가로 축에 달성도, 세로 축에 회원)

 

목표치를 참조선으로 표현하여, 목표를 달성한 사원수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고 싶을 때 더욱 효과적인 차트로 응용이 가능하다.

 

막대 차트를 사용할 때 알아두면 좋은 Tip

1. 항목이 많다수평 막대 차트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시선은 위->아래, 왼쪽->오른쪽으로 익숙하기 때문이다.)

 

2. 순위를 강조하고 싶다면 오름(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 주의점 : 정렬을 바꿔도 전달하려는 메시지가 달라지지 않을 때만 정렬을 사용해야 한다.

(다음과 같이 가로축이 시간을 나타내는 경우, 트렌드 파악이 목적일텐데, 순위를 강조하면 의미가 없다.)

 

3. 항목을 구분해야 한다면 색상을 사용하도록 한다.

왼쪽 : 구분 막대 차트, 오른쪽 : 누적 막대 차트

 

4. 채도를 사용하여 항목값의 중요도와 크기 차이를 강조하도록 한다.

 

 

<실습> 서울 지하철 총 승객수는 호선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을까?

 

1) 데이터 준비하기

서울 지하철 호선-역별 인원 데이터 중 일부

2) 데이터로 알고 싶은 내용 질문하기

  • 서울 지하철 승객수는 호선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 서울 지하철 승객수는 역에 따라 어떤 변화가 있는가?
  • 총 승객수가 가장 많은 역은 어디인가?
  • 12월 내에서 승객수의 트렌드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3) 태블로로 직접 실습해보기

(호선별로 지하철 승하차 승객수를 막대그래프로 표현, 역/날짜별로 막대그래프 그리기)

 

내림차순 정렬된 모습

 

역별로, 날짜별로 승하차 총 승객수 분석하는 모습

4) 질문에 답해보기

1) 서울 지하철 승객수는 호선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2호선이 가장 승객수가 높으며, 2호선을 중심으로 서울의 부도심이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울 중심부와 직결된 호선의 승객수(2, 7, 5호선 등)이 그렇지 않은 호선보다 많다.

직장 등의 이유로 서울 중심부를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서울 지하철 승객수는 역에 따라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특정 역들에 집중되어 있으며, 잠실(송파구청)역이 가장 높은 승하차 승객수를 보인다.

 

3) 12월 내 날짜에 따른 승객수의 트렌드는 어떻게 편하는가?

 

평일에는 높은 승하차 승객수, 주말에는 낮은 승하차 승객수를 보이는 패턴이 반복된다.

12월 28~31일(연말)에는 연차를 쓴 직장인 때문에 총 승하차 승객수가 낮은 편에 속하는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