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이후로 출생아수가 급감하면서, 2020년 이후로 입학생수가 감소하고 있어, 입학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대학이 늘어나고 있는 사실을 접할 수 있다. 또한, 학령인구가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해지면서, 특정 지역의 대학은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학정원 대책을 마련하려면, 현재의 상황을 데이터를 통해 제대로 분석해야 한다.
ex) 학과마다 입학 정원은 어떻게 다른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입학생 수가 얼마나 감소하는 지 등...
<실습> 대학 입학정원과 입학생 수로 알 수 있는 것은?
1) 데이터 준비하기
2) 데이터로 알고 싶은 내용 질문하기
(1) 지난 10여년 간 대학 입학정원과 입학생 수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2) 지난 10여년 간 대학 입학정원과 입학생수는 학과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3) 대학 입학정원 중 일반대학과 방송통신대학 및 사이버대학이 차지하는 비율은 어느 정도인가?
3) 태블로 실습하기
(1) 대학 입학 정원과 입학생수 트렌드 선 차트 만들기
Q1. 지난 10년간 대학 입학정원과 입학생 수의 변화는?
A1. 입학 정원은 2014년 이후로 계속 급격하게 감소하는 추세이고, 2011년 기준 수치보다 2020년에는 약 3만명 넘게 감소한 수치까지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입학생수는 2011~2013년에 감소하다, 2014년 잠시 반등이 일어나다가, 2017년까지 매우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2017~2020년에는 비슷한 수치를 유지하고 있긴 하다.
입학생수와 입학정원이 급격하게 떨어진 원인을 찾기 위해, 인구 통계를 살펴보면 알 수 있다.
(출생아수의 급감 및 90년대 이후 개인주의 문화의 정착으로 인해, 대학 진학률의 감소)
-> 2012년 기점으로 입학정원보다 입학생수가 적어졌고, 대학 입학정원은 10년 사이에 3만 명, 입학생 수는 4만 명 이상 감소하였다.
(2) 학과계열별 입학정원과 입학생수 영역 차트 만들기
가장 많은 입학정원과 입학생수를 보이는 학과는 컴퓨터공학이며, 입학 정원에 비해 입학생 수가 꽤 모자라다.
응용 소프트웨어공학의 경우, 지난 5년동안 입학정원, 입학생수가 모두 급격하게 증가한다.
반면, 정보통신공학과 토목공학의 입학정원, 입학생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 취업률이 높은 학과일수록, 입학정원, 입학생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대의 경우 감소)
(3) 대학 입학정원 중 일반, 방송통신, 사이버대학 비율 파이 차트 만들기
-> 전체 입학 정원 중 일반대학이 7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온라인 대학이 20%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대시보드>
대시보드의 목적 : 대학 입학정원, 입학생수 트렌드를 파악하여 장기적으로 인적 자원 개발 계획을 고민하기
이해관계자 - 교육부, 교수, 교직원
<하이라이트 되도록 설정>
<태블로 스토리>
스토리로 만들면 다음과 같다.
'데이터 시각화(태블로) > 5단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5-3. 전국 종량제 쓰레기 봉투 가격 분석하기 (0) | 2023.02.2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