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데이터베이스 알아보기
데이터베이스란? "데이터의 집합"
DBMS란?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로,
대용량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여러 사용자와 공유하고 동시에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ex) 은행의 예금 계좌는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어, 여러 명이 동시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또한 DBMS가 있기 때문이다.
DBMS의 종류
DBMS | 제작사 | 작동 운영체제 | 최신 버전 | 기타 |
MySQL | Oracle | Unix, Linux, Windows, Mac | 8.0 | 오픈 소스, 상용 |
MariaDB | MariaDB | Unix, Linux, Windows | 10.6 | 오픈 소스 |
PostgreSQL | PostgreSQL | Unix, Linux, Windows, Mac | 12 | 오픈 소스 |
Oracle | Oracle | Unix, Linux, Windows | 18c | 상용 시장 점유율 1위 |
SQL Server | Microsoft | Windows | 2019 | 중/대형급 시장에서 사용 |
DB2 | IBM | Unix, Linux, Windows | 11 | 메인프레임 시장 점유율 1위 |
Access | Microsfot | Windows | 2019 | PC용 |
SQLite | SQLite | Android, iOS | 3 | 모바일 전용, 무료 |
DBMS의 발전 과정
1) 종이에 펜으로 기록
2) 컴퓨터에 파일로 저장 (엑셀 등을 사용)
3) DBMS의 대두와 보급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기 시작)
DBMS의 분류
1) 계층형 DBMS : 처음으로 등장한 DBMS 개념, 트리 형태를 갖는다.
(e.g. 직무나 계급을 나타낼 때 사용)
2) 망형 DBMS : 계층형 DBMS의 문제점을 개선하느 유연한 구조
(하위 구성원 끼리도 연결하는 유연한 구조이다. 모든 구조를 이해해야만 작성이 가능하며, 잘 사용하지 않는다.)
3) 관계형 DBMS : 테이블이라는 형태로 구성, 하나 이상의 열, 행으로 이루어져있다.
DBMS에서 사용되는 언어 : SQL
SQL은 관계형 DBMS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데이터베이스(DB)를 조작하는 ‘언어’이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이다.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표준을 정한 SQL을 표준 SQL이라고 한다.
DBMS를 만드는 회사가 다양하다보니, 모든 회사의 특성을 포용할 수는 없는 한계점으로,
되도록이면 표준 SQL을 준수하되,각 회사마다의 제품의 특성을 반영한 SQL을 사용한다.
(ex. Oracle, SQL 서버, MySQL -> 각각 PL/SQL, T-SQL, SQL)
1-2. MySQL 설치 및 개념
(설치 과정은 설명 생략, 교재를 참고해보시기 바란다.)
MySQL이란? 대표적인 관계형 DBMS로 학습 과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이다.
MariaDB란? MySQL 초기 개발자가 오라클 사 퇴사 이후 만든 DBMS(완전 무료로 가능)
MySQL 서버란?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운영하는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핵심 소프트웨어, DBMS)
MySQL 워크벤치란? MySQL 서버에 접속/연결하기 위한 프로그램(클라이언트 도구)
MySQL 서버의 DB 목록을 출력하는 SQL문은 다음과 같다.
SHOW DATABASES;
'SQL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2단원 - DB 모델링 및 개체, 활용하기 (0) | 2023.02.20 |
---|